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Q. 아는기자 아자, 정치부 김민지 기자와 함께 윤 대통령 우크라이나 방문 소식 조금 더 알아보겠습니다. 김민지 기자. 오늘 오후에 갑자기 전해진 소식이죠.<br><br>네, 깜짝 방문입니다. <br> <br>경호와 안전 문제를 고려해 극비리에 진행된 건데요, <br><br>이번 방문은 젤렌스키 대통령의 초청으로 폴란드 방문 도중 추가됐습니다. <br><br>우크라이나는 폴란드와 국경을 맞대고 있죠. <br> <br>대통령과 함께 간 기자단은 폴란드에 남고 극소수 참모들만 대통령과 함께 우크라이나에 간 건데요. <br> <br>대통령실 관계자는 나토 순방을 준비하며 오래 전에 초청을 받았다면서 "대한민국의 역할에 대한 기대가 깔려있는 것으로 받아들였고 고민을 오래했다"고 했습니다. <br> <br>Q. 우크라이나에서 수도 키이우만 들른 게 아니라고요? <br><br>윤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는 키이우를 찾기 전 인근 부차와 이르핀을 먼저 방문했습니다. <br> <br>조금 전, 들어온 사진과 영상 보여드리겠습니다. <br> <br>부차는 민간인 학살이 벌어진 곳입니다. <br><br>보시는 것처럼 윤 대통령 내외가 희생자들 공동묘지에서 촛불을 들고 추모하는 모습을 볼 수 있고요. <br><br>이르핀은 민가 폭격 현장입니다.<br> <br>황폐화된 주거지, 폭격을 맞은 차량도 그대로 남아있어서 참혹한 상황을 그대로 볼 수 있는 곳인데 이 곳도 둘러봤습니다. <br> <br>이어 키이우에 있는 전사자 추모의 벽도 방문했는데요, <br> <br>이 곳은 주요국 정상들이 우크라이나를 방문하면 주로 찾는 곳입니다. <br><br>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전쟁 1주년을 앞둔 지난 2월 수도 키이우를 전격 방문해 전사자 추모의 벽에 헌화했고요, <br> <br>앞서 지난 3월 기시다 일본 총리도 전사자 추모의 벽과 부차 학살 현장을 찾았습니다.<br><br>Q. 우리 대통령이 전쟁중인 나라를 찾은건 이례적인 일이죠. <br><br>네, 특히 전쟁중인 나라를 찾아 정상회담을 한 건 처음인데요, <br><br>대통령이 순방 중에 극비리에 파병부대를 찾은 적은 있었습니다. <br><br>지난 2004년 12월, 노무현 당시 대통령이 유럽 3개국 순방을 마치고 귀국하던 길에 이라크에 파병된 우리 군을 격려하기 위해 <br>'자이툰 사단'을 전격 방문했습니다. <br> <br>Q. 관심은 아무래도 젤렌스키 대통령과의 만남이에요. <br><br>네, 윤 대통령과 젤렌스키 대통령이 정상회담을 가졌는데요, <br><br>앞서 윤 대통령은 현지시각 11일 밤, 리투아니아 대통령궁에서 열린 나토정상회의 공식 만찬장에서 젤렌스키 대통령과 잠시 마주쳐 인사를 나눴었죠. <br> <br>지난 5월, 일본 히로시마 주요 7개국 정상회의에서 첫 양자회담을 가진 뒤 두 달 만에 마주앉은 셈입니다. <br> <br>Q. 어떤 논의를 했을지도 궁금합니다. <br><br>자세한 내용은 곧 양 정상의 기자회견을 통해 전해질 예정인데요. <br><br>우선 인도적 구호품을 포함해 우크라이나에 대한 다양한 지원 방안 등이 논의됐을 것으로 보입니다.<br><br>특히 우리 정부는 그동안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 강한 의지를 보여 왔는데요. <br><br>[최상목 / 대통령 경제수석(현지시각 13일)]<br>"우크라이나 정부는 전쟁 피해를 복구하는 리빌딩을 넘어, 국가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는 뉴빌딩을 추진 중입니다. 특히 전쟁으로 폐허가 되었다가 한강의 기적을 일궈낸 우리의 기술과 경험이 재건에 활용되기를 희망하고 있습니다." <br><br>윤 대통령은 앞서 폴란드에 갔을 때 폴란드 정부와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에 협력하는 양해각서를 체결했습니다. <br> <br>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규모는 1200조 원, 또는 그 이상으로 평가되고 있는데요.<br><br>이번 방문을 계기로 우리나라의 사업 참여 가능성에 힘이 실릴지도 관심입니다.<br><br>Q. 네. 지금까지 아는기자, 정치부 김민지 기자였습니다.<br><br /><br /><br />김민지 기자 mj@ichannela.com